현재 국내 포탈 중에 1등은 네이버이다. google 조차도 네이버 앞에서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이 구도가 계속 지속될까??

네이버로 검색하는 이유는 한가지이다. 국내자료가 많기 때문이다. 해외자료 또는 영문자료를 검색할때 네이버로 하지 않는다. Google 을 쓴다.

네이버가 국내 자료가 많은 이유는 ?? 다른 것 없다. 다른 site 에 추가로 지식in 이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인 견해로는 지식in 을 제외한 일반 국내자료 검색은 empas 가 더 우수하다.

그런데 지식in 이 몰락하고 있다. 정확히 이야기하면 블로그 시대가 오고 있다.
현재 웹상에서 가장 정확하고 정리가 잘된 정보는 모두 블로그에 있다.
그런데 전문 블로그는 거의 대부분 daum 블로그 또는 Tistory 블로그에 있다. 둘다 daum 꺼다.

왜 이렇게 되었나 ??



daum 블로그 tistory 블로그 모두 광고로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이다.



daum 블로그에는 adclicks 를 설치가 가능하다.
tistory 에는 adclinics 뿐 아니라 google adsense 나 알라딘 TTB2 도 설치 가능하다.

사실 벌어들이는 돈은 얼마 안된다. 하지만 블로거에게는 동기 부여가 된다. 아래 사진은 google adsense 로 벌어들인 수표를 찍은 인증샷이다. 영문 블로거 중에서 매달 1000만원 이상 벌어들이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지금 이순간에도 많은 블로거들이 자신의 전문 지식을 일목 요연하게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리고 있다.

그래서...
나는 얼마전까지 국내자료 검색하려면 naver 로 검색해서 지식in 을 먼저보았다.
하지만 지금은...




국내자료 검색하려면 daum 으로 검색해서 블로그 검색을 본다.



폐쇄적인 운영을 하고 글저자의 동기부여를 못하는 naver 는 몰락할 것이다. 더구나 daum 에는 naver 에는 없는 agora 라는 훌륭한 토론장이 있다. 미네르바가 활동해서 유명해졌지만 지식in 같은 곳에서 볼 수 없는 고급정보가 가득하다.


원래 검색 엔진은 google 이 최고다. 그런데 국내 자료는 google 에서 검색이 잘 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
검색 엔진이 돌아다니는 것을 막아 놓았기 때문이다. robots.txt 라는 파일에 검색 엔진이 돌아다니지 말도록 설정을 하는데 국내 포탈들은 모두 이것을 막아 놓았다. 물론 이것은 daum 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google 에서 국내자료가 검색이 잘 안된다.


결론적으로

변하지 않는 1등은 없다. 또한 세상에 공짜는 없다.

네이버는 네티즌의 지식을 공짜로 이용하면서 폐쇄적으로 운영하기 때문에 몰락할 것이다.

블로그 시대에 가장 빠르게 적응하는 포탈만이 살아남을 것이다.

,


컴퓨터를 좀 안다고 생각했던 저도 rss 라는 것을 어제 알았습니다. 한마디로 각종 블로그나 기사를 골라읽기 위한 통신 규약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슷한 것으로 "atom" 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아고라의 "미네르바", 다음블로그의 "상승미소", 네이버블로그의 "드루킹" 님의 글을 읽는다고 합시다. 보통은 3개의 site 를 모두 즐겨찾기를 해놓고 한군데씩 들어가서 봅니다.

하지만 rss 를 이용하면 3 저자의 글을 한 화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 글도 시간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rss 를 읽으려면 rss reader 라는 것이 있어야 하는데 쉽게 사용할 수 있는 rss reader 로는 google reader 가 있습니다. 이외에도 hanrss 등이 있습니다. rss 로 검색하면 나와요.

1) 일단 google.com 에 가입하시고.
2) http://reader.google.com 으로 들어갑니다.



왼쪽 위에 보면 구독 추가라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구독하고 싶은 rss 주소를 적어주면 됩니다.

3) rss 주소는 어디서 얻을까요 ?? "미네르바" 님의 rss 를 찾아보겠습니다. 아고라의 미네르바 님의 아이디를 클릭하면 아래처럼 나옵니다.

토론 2 옆에 보면 아까 보여드린  이 있습니다. 이걸 클릭하면 주소가 나옵니다.

이렇게 얻는 미네르바님의 rss 주소는
http://agora.media.daum.net/profile/rss.xml?key=yzcyxX5kuoE0&group_id=1

입니다. 이 주소를 2) 번에서 보여드린 google reader 의 구독 추가란에 적어주시면 됩니다.

현재 거의 모든 블로그 및 뉴스 기사 등이 rss 를 지원합니다. 잘 찾아보면 마크를 찾을 수 있습니다.

4) 결과입니다. 글이 잘 정렬되어 있습니다.




rss 로 많은 site 를 등록해서 본다면 시간도 절약하고 아고라의 알밥들도 피해갈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몇몇 까페에서는 사람들이 죽어라 퍼나르고 있는데 이런 수고를 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실 저도 rss 를 모르고 열심히 비슷한 기능이 있는 홈페이지를 만드느라 고생 좀 했습니다. 진작 알았으면 이런 수고를 덜었겠죠. 그래도 많은 글들이 많이 있는 편리한 site 입니다. 많이 놀러와주세요.
http://sshan.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