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내용을 요약하면 선물환, FX 신규 거래가 4 일 자통법으로 금지되었다는 것이다.

명목상으로는 "일반 투자자의 장외파생상품(선물환) 거래는 위험회피목적 차원에서만 가능하고, 은행에게는 고객의 장외파생 거래 목적을 확인해야하는 의무가 생겼기 때문이다." 라고 하는데...

usd-jpy, usd-eur 같은 fx 트레이딩은 그대로 되고 krw 선물, 마진만 막힌 것으로 보아 원화에 대한 국내환투기를 막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투기족들은 NDF 쪽으로 많이들 이사가겠구만...
정부도 타기는 타는 모양이다.

진작에 펀드에 대해 이런 조치 취했으면 할머니, 할아버지들 돈도 안 떼였을텐데...

참고로 아래는 오늘 환율 그래프이다. 어제도 그랬지만 막판에 올라가는게 심상치 않다.




http://stock.naver.com/news/news_read.nhn?article_id=0002069811&office_id=018&mode=LSS3D&type=0&section_id=101&section_id2=258&section_id3=429&date=20090209&page=1

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4일 자통법이 발효된 이후 시중은행들은 인터넷을 통해 해왔던 선물환, FX스왑, 미인도(未引渡) 선물환 신규매입과 신규매도 거래를 전면 중단했다.

자통법상 일반 투자자의 장외파생상품(선물환) 거래는 위험회피목적 차원에서만 가능하고, 은행에게는 고객의 장외파생 거래 목적을 확인해야하는 의무가 생겼기 때문이다.

또 은행은 일반투자자에 대한 사전정보를 확인하고 투자의 적합성을 판단해야 한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인터넷으로 거래가 가능했던 선물환도 위험회피목적임을 건별로 증명해야만 거래가 가능하게 된 것.


론 인터넷상으로 서류제출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매번 투자자의 신분 확인과 매매목적을 확인하는데에는 절차상 무리가 따르는 데다,
서류를 검토하는 동안 환율이 큰 폭으로 움직이면 그 사이 손실이 발생할 수 있고 은행입장에서는 골치가 아파진다.

다만, 인터넷 뱅킹을 통한 외환 현물거래는 그대로 유지된다. 또 선물사 HTS를 통한 통화선물(FX마진) 거래 역시 가능하다. (표 참고)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약정된 환율로 해당 통화를 사거나 파는 계약이라는 개념은 같지만 통화선물은 거래소가 계약이행을 보증하며 표준화된 거래조건 하에서 거래되는 반면 선물환은 상대방과 1대1로 거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통화선물은 증거금만 내면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반면 선물환은 보통 수출입 기업들이 주거래은행과의 신용공여한도(크레딧 라인) 내에서 거래한다.

2000년 초반부터 은행권에 인터넷 뱅킹이 확산되면서 외환거래 업무도 인터넷을 통해 이뤄지기 시작했다. 특히 수출비중이 높은 만큼 환리스크 관리를 위한 수출입 기업들의 인터넷 선물환 매매가 활발해졌다.

그러나 이제 인터넷에서 몇번의 클릭으로 선물환을 매매하는 것은 불가능해졌고, 일일이 환헤지 목적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첨부해 영업점을 방문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겼다.

이번 자통법 시행으로 단순한 선물환 매수와 매도 뿐만 아니라 현물환과 선물환을 동시에 다른 방향으로 사고 파는 FX스왑, 선물환 만기 이전 거래를 청산하는 미인도 선물환 거래도 인터넷 뱅킹을 통해 거래할 수 없게 된다.


환은행의 한 관계자는 "인터넷으로 투자자 정보와 증빙서류를 확인하고 거래가 체결되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절차가 복잡할 수
밖에 없다"며 "외환거래 뿐만 아니라 금융상품 투자시 `묻지마`식 거래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 중에 하나"라고 설명했다.
,


개인이 외환거래를 할 수 있도록 FX 마진거래라는 것이 생겼다.

그냥 은행에 가서 외화를 사고 팔아도 되지만 이러면 수수료가 살 때 팔 때 +/- 1% 정도씩 붙는다.

하지만 FX 마진거래는 거래 수수료가 거의 없다. (하나은행 ifx 기준 0.01%)

그리고 레버리지라고 해서 자신이 맏겨놓은 자금의 5배정도까지 투자가 가능하다. 5배 수익이 날수도 있고 5배 손해가 날 수도 있다.

환율이 오르는 것에 배팅을 할 수도 있고 내리는 것에 배팅을 할 수도 있다. 방향만 맞으면 차익을 벌 수 있다.

오늘 글은 하나은행 ifx 기준으로 말한다. 참고로 ...

http://prettygom.com/entry/외환-FX-마진거래-달러-싸게-환전

이 글을 먼저 읽어보면 도움이 된다.

하나은행 ifx 프로그램에 들어와서 가장 먼저 보이는 것이


이다. 위에 서울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서울" 이라는 우리나라 외환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가격이다.
bid / offer 가 있는데 offer 가격에 사고 bid 가격에 판다는 이야기다. 2번째 한국은 "한국" 이라는 외환거래소 가격이다. 실제로 우리가 fx마진거래하는 가격은 4번째 마진이라고 가격이다. 지금은 장마감이라서 가격이 안나와 있다.


F10 키를 누르면 마진현물환 현재가/주문 창이 뜬다.


거래를 하려면 먼저 하나은행 일반 계좌에서 마진거래 프로그램으로 돈을 넘겨야 한다. 표시된 버튼을 눌러서


계좌 입출금을 하자.

주의할 점은... 자신이 투자할 금액만 넘기자.. 절대 더 많이 넘길 필요 없다. 주식과 다르게 넘긴 돈을 다시 은행 통장으로 넘기는게 거래중에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포지션을 모두 다 정리해야... 즉. 사고 판 달러를 전부 정리해야 돈을 은행으로 넘길 수 있다. 대금도 2일후에 들어온다. 나도 이거 몰라서 괜히 많이 넘겼다가 물렸다. -.-


실제 거래 화면이다.


1348 원이 현재 마지막 거래 가격이고
bid 는 1348.00 / offer 는 1359.50 이네. 살수 있는 가격은 1359 원 팔 수 있는 가격은 1348 원이다.
여기는 bid & offer 가 많이 차이가 나지만 실제 9시 ~ 오후 3시 사이에 거래를 하면 bid & offer 차이가 1.5 원정도 밖에 안난다.

그 밑에 고시환율 1,2,3,4 는 팔려고 또는 사려고 사람들이 내놓은 물량이다. 오른쪽 붉은 부분(offer) 부분 물량을 살 수 있고 왼쪽 파란 물량 (bid) 을 팔 수 있다.

현재 우리가 가진 돈은 원화 증거금 밖에 없다. 하지만 바로 달러를 팔 수 있다. 이를 공매도라고 한다. 가지고 있지 않은 달러를 팔고 나중에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그 차익을 얻는다.



하나은행 ifx 는 모의계좌가 없다. 이것은 fxgoal.com 에서 제공하는 모의 계좌 에 관한 내용이다. 여기는 50:1 / 400:1 까지 레버리지를 낸다고 하네.. 무섭다. 참고로 하나은행 ifx 는 5:1 이다. 5배 레버리지이다. 50:1 이면 환율이 1원만 올라도 50 원오른 것과 같은 효과를 낸다.

참고로 국내에서 KRW (한국 원화) 를 거래할 수 있는 곳은 하나은행 ifx, 외환은행 fx 밖에 없는 것 같다.


,


일반적으로 환전할 때 매매기준율에 비해 살 때는 비싸게 사야하고 팔 때는 싸게 팔아야 한다.

매매기준율에 수수료가 붙기 때문이다. 보통 현찰로 인출할 경우 살 때와 팔 때 1% 정도씩 붙는다.

<매매수수료>

1) 원화 현찰 <--> 달러 현찰 ( 사고 팔 때 1% )
2) 원화 현찰 <--> 달러 예금 ( 사고 팔 때 0.1% ~ 0.6% )
cf) 0.1% 되려면 프리미엄 이상 등급이어야함. 0.6% 는 인터넷 환전 기준 

1) 번 방법은 보통 해외여행 갈 때 돈 찾는 방법이다. 현찰로 달러를 살 수 있지만 수수료가 짱 비싸다.
2) 번 방법은 해외로 달러를 송금하거나 집에 달러 외화 예금을 하기 위한 방법이다. 대부분은 0.3 ~ 0.6 % 수수료를 낸다. 0.1% 정도 되려면 거래액이 억단위이거나 등급이 아주 좋아야한다. 보통 PB(private bank) 기준이 현금예금 10 억이상이고 그 중에서도 50 억이 넘어야 우대를 받는다. PB 데리고 있을 프리미엄 등급이 아닌 대부분 서민이나 중산층은 0.3 ~ 0.6 % 의 수수료를 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서민들도 좀 더 싸게 환전이 가능하다. 외화 FX 를 이용하자.

외화 FX 는 FX 현물환 과 FX 마진현물환 으로 나뉜다. FX 현물환은 그냥 보통 거래라고 생각하면 되고 FX 마진현물환은 대규모 거래라고 생각하면 된다. FX 마진현물환은 1단위(lot)가 10000 $ (대략 천만원이상) 이다. (FX 현물환은 1 단위가 100$). 그리고 레버리지라고 해서 딴사람 돈 빌려서 왕창 사서 좋은 이윤을 남기거나 완전 쪽박을 차는 일도 가능하다. 달러가 오르건 내리건간에 정확하게만 예측한다면 오를 때, 내릴 때 모두 환차익을 얻을 수 있다. FX 마진현물환은 하나은행에서 달러만 거래 가능하다. (FX 현물환은 엔, 달러, 유로 가능)

3) 원화 현찰 <--> 달러 예금, FX 현물환 ( 사고 팔 때 0.19% )
4) 원화 현찰 <--> 달러 예금, FX 마진현물환 ( 사고 팔 때 0.01% , 롤오버(달러를 하루 보유하는 비용) 0.008% )

여기서 FX 는 하나은행의 ifx 기준이다. 우리은행, 외환은행도 되지만 좀 더 수수료가 비싸다.
여기 저기 광고에서 보면 많은 fx 서비스가 있다. 하지만 현재 내가 알기로는 하나, 우리, 외환 말고는 KRW(한국원화) 을 FX 거래 하는 곳은 없다. 대부분의 FX site 는 주요 통화(USD/JPY, USD/EUR 등등 16 여개)만 거래한다.


# 하나은행 ifx 를 하는 방법이다. #

1) 하나은행에 가서 일반 계좌 / 외환 계좌 (JPY, EUR, USD 등 원하는 것 모두) 를 만든다. 인터넷 뱅킹도 하자

2) IBS 마진현물환 거래를 할 수 있게 해달라고 하자. 대부분 은행원들이 모르니까 또박또박 IBS 해주세요. 하면 찾아서 해준다. 찾아서 하므로 좀 오래 걸린다. -.-




# 용어해설 #

몇가지 용어가 머리 아프게 한다. 달러 기준으로 설명한다.

1) 포지션
내가 달러 오르는데 도박을 할지.. 달러가 내리는데 도박을 할지.. 정해야한다.

KRW/USD 를 sell(short) 포지션 --> KRW 이 가치가 떨어질 것이라고 도박을 하겠다.
KRW/USD 를 buy(long) 포지션 --> KRW 이 가치가 올라갈 것이라고 도박을 하겠다.

요즘처럼 환율이 마구마구 오를 때는 KRW/USD 를 short 포지션으로 할 것이다.

2) 증거금
마진거래는 10000$ 가 거래 1단위이다. 1500 만원쯤이 없으면 거래를 못하는가?? 아니다. 20% 정도인 300 만원만 있으면 나머지 돈은 빌려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20% 에 해당하는 돈이 증거금이다. 전당포에 맞기는 시계쯤 된다고 생각하자.

3) 마진콜 (margin call)
증거금 300 만원 가지고 1500 만원 어치 달러 거래를 한다고 하자. 갑자기 손해를 많이 보아서 1500 만원이 --> 1300 만원이 되었다고 보자. 그럼 200 만원 손해본 것이다. 300 만원 밖에 없는 놈이 벌써 200 만원 손해 보면 돈 빌려준 사람이 얼마나 불안하겠는가?? 그래서 보통 증거금의 50% 즉.. 150 만원 정도 잃으면 그 때부터는 더 이상 돈을 빌려주지 않는다.

더 손실이 나서 80% 쯤 까먹었다면 강제청산을 당해 내 의사와 관계없이 팔아버린다. 돈을 잘 벌 때는 신경 안 써도 된다. 마진콜 당하면 잠깐의 시간을 준다. 그동안에 넣으라는 돈만큼 빨리 돈을 입금시키면 해지시켜준다. 

4) 강제청산
하나은행 ifx 경우 증거금의 80% 넘는 손실이 나면 그냥 팔아버린다.


# 실전 FX #


1)



제일 왼쪽에 그날 환율을 나타내는 표가 있다. bid / offer 가 있는데 문제는 "서울, 한국, 현물, 마진" 4 개나 있다.

서울, 한국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2 대 외환 시장이다. 각각의 시장의 가격은 약간 다르지만 거의 비슷하다. 서울 가격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보통 말하는 고시환율이나 기준환율은 "서울" 환율이라고 생각하자.

"현물"은 하나은행 현물 FX 거래하는 가격이고 "마진" 은 하나은행 마진 FX 거래하는 가격이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서울" 환율과 비슷하게 따라간다. "마진" 이나 "현물" 가격이 "서울" 가격과 차이가 나면 "서울" 에서 물량을 쏴주기 때문에 사실상 "서울" 가격으로 결정된다.

2)


서울 환율은 bid / offer 두가지가 있다. 위 그림에서 보면 1358.5 bid , 1359.10 offer 이다.
이는 1358.5 에 팔 수 있고 1359.10 에 살 수 있다는 말이다. 즉 비싸게 사고 싸게 팔 수 있다. 두 가격의 차이는 은행에서 가져가는 이익인데 이 차이를 spread 라고 한다.


가운데 현물환 현재가 / 주문 창을 보면

1348.00 이라고 파란색 큰 글씨가 있다. 이는 현재 거래 가격을 의미한다.
현재 bid 는 1348.00 / offer 는 1359.50 이다. 붉은 00 과 붉은 50 은 1348.00 의 00 , 1359.50 의 50 을 보여주는 것이다.

3)
밑에 헷갈리게 고시환율 1, 고시환율 2, 고시환율 3 으로 양쪽으로 있다. 이것은 더 비싸게 팔거나 싸게 사려고 사람들이 예약으로 걸어놓은 주문이다.

그림에 보면 사려는 사람이 1348 에 9900 $ / 1347 에 25000 $ / 1346 에 5000 $ 걸어놓았다. 따라서 팔려는 사람(sell 포지션을 사려는 사람)은 즉시 사려면 1348 에 9900 $ 밖에 살 수 없다. 하지만 낮시간에는 1348 에 9900 $ 사면 "서울", "한국" 과 같은 외화 거래소에서 1348 에 물량을 바로 더 공급한다.(보통 50만$정도씩) 따라서 외환 거래 시간인 아침9시부터 저녁 3시까지는 물량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시세대로 살 수 있다.

여기는 현물한 그림이라서 9900$ 처럼 100$ 단위로 되어 있다. 참고로 FX 현물환 거래는 100$ 단위로 거래된다. 하지만 FX마진거래에서는 기본적으로 한개의 거래는 10000$ 이다. 주식 1주가 10000$ 라고 생각하면 된다. 만약 더 작은 금액의 거래를 원한다면 FX 현물환 거래를 하면 된다.

4)
하나 은행에 500 만원을 증거금으로 입금시키고 거래를 시작했다고 하자.

만약에 환율이 올를 것으로 예상이 된다면...
USD 를 사면된다. 500 만원 증거금이므로 500만원 * 5 = 2500 만원까지 살 수 있다. 하지만 1개 단위가 10000$ (1400만원) 이므로 1개 단위밖에 못산다.

만약에 환율이 내릴 것으로 예상이 된다면...
USD 를 팔면된다. 우리는 증거금으로 원화 500 만원만 입금시켜서 달러는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공매도라고 해서 가지고 있지 않은 달러를 팔 수 있다. 나중에 환율이 내리면 그 차이만큼 이익을 본다.

모두 외환 FX 트레이딩으로 부자 되시길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