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프라이싱이란 노출되는 광고가 효과적인가 아닌가에 따라 구글이 인센트브 또는 징벌을 가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대부분 구글 애드센스에서 2가지가 문제가 되는데 1) 부정 클릭 2) 스마트 프라이싱 이다.

일단 스마트 프라이싱(smart pricing)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스마트 프라이싱의 정의>

스마트 프라이싱이란 쉽게 말하면 광고의 단가 조정이며
상세하게 말하면 계정마다 클릭당 지불을 차별화하여 지급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2004년 4월부터 작동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광고주는 광고를 클릭하는 사람이
자신의 상품을 구매하여 매출을 올리는게 목적입니다.
근데 애드센스는 자신의 사이트에 들어온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만 하여도
사이트 운영자에게 수익을 줍니다.
그래서 광고클릭만 하고 물건을 사지 않는다면 광고주는 손해를 보게 됩니다.
계속적으로 클릭수는 많은데 구매률과 매출연결이 낮아지고 적어진다면
구글에서는 클릭으로 인한 애드센스 수입단가를 광고주를 배려하여
자동으로 다운 시켜버립니다.

 스마트 프라이싱을 어떻게 대응하느냐는 말이 많은데

1) 노출되는 광고를 줄여라 - 노출은 많고 클릭이 낮으면 단가가 낮아진다.
2) 블로그의 질을 올려라

 인데 1) 번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스마트 프라이싱의 원리상 return on investment (RIO) 즉... 투자 회수율에 대해 이야기 하는데 ...

 문제는 나의 지식상 웹상에서 투자회수율(RIO) 를 알아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광고주에게 일일히 거래가 되었는지 물어보기도 힘들고 더구나 어떤 site 에서 온 손님이 구매를 했는지를 알기는 광고주의 web site 까지 관리하면 모를까 불가능하다.

 따라서 분명 다른 방법으로 스마트 프라이싱에 대한 데이터를 얻으리라 생각된다.

 가장 유력한 것은 Google Analytics 를 이용한 감시이다.


http://www.liewcf.com/blog/wp-images/google-analytics.jpg

위의 그림처럼 구글은 analytics 를 통해 웹사이트의 정보를 정밀하게 얻는다.

광고 때리는 우리 싸이트와 광고주의 싸이트 양쪽에 analytics 분석툴이 설치되어 있다면 광고가 효과적으로 돌아가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 싸이트에서 "홍삼" 으로 클릭해서 광고주의 "홍삼원" 싸이트에 들어갔다고 하자.
만약 소비자가 "홍삼원"에 전혀 관심이 없는데 실수로 클릭 했다면 바로 나올 것이다.

이렇게 바로 나오면

1) bounce rate - 이 수치는 싸이트에 들어가서 클릭없이 바로 나오게 되면 올라가는 수치이다. 한마디로 전혀 관심없이 바로 나오는 경우 올라간다.
2) page view - 1 페이지 밖에 안 보았다.
3) average time - "홍삼원" 싸이트에 10 초나 접속했을래나?

이런 수치들이 엉망으로 나오게 된다. 추측컨데 구글은 이러한 데이터를 몇달정도 모아서 광고 단가를 정해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결국 bounce rate 가 낮고 page view 는 많고 site 에 머문 시간이 길어야 효과적으로 광고한 것이기 때문이다. 웹써핑 한 사람이 물건을 샀는지 안 샀는지는 사실 알 길이 없다.


여기까지 스마트 프라이싱에 대한 나의 추측이다. 동의하는가 ??? 동의한다면 추천 클릭 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