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7 의 태스크바를 이용해서 깔끔하게 사용량을 체크



TaskbarMeters v1.1.zip


'컴퓨터 이야기~ >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7 pptp VPN 설정  (0) 2012.06.14
우분투에서 pptp VPN 설정  (0) 2012.06.13
simplex adblock  (0) 2012.04.13
boost path 사용법  (0) 2012.04.08
고스트 복원 후 드라이브 문제로 부팅이 안될 때  (0) 2012.03.18
,

다운로드

simpleadblock0.8.7.msi

free 웨어로 마지막 버젼인 0.8.7 버젼의 simple adblock 이다.

0.8.8 버젼부터는 제한이 걸려있다.

그냥 사용해도 대부분 filter 가 된다.

하지만 직접 filter list 를 update 해도 된다.

http://maybeefilter.tistory.com/129

심플 애드블록(Simple Adblock)
인터넷 익스플로러용 광고 차단 프로그램



심플 애드블록(Simple Adblock)은 익스플로러용 광고 차단 프로그램입니다.
심플 애드블록은 플래시 광고, 배너 광고, 리치미디어, 슬라이드인과 플라이인과 같은 웹 사이트의 모든 종류의 광고를 차단합니다. 무엇보다 광고 차단 기술에 있어서 파이어폭스의 가장 인기있는 부가 기능인 Adblock Plus 필터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익스플로러 사용자들도 이제 인터넷 광고로 인한 성가심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광고를 차단함으로써 쾌적하고 빠른 웹 서핑을 즐길 수 있습니다.

가. 다운로드 : 0.8.8 버전(무료 최신 버전)
※ 참고로 1.0.0 버전부터는 유료화되어 기능 제한이 있음. 유료화 이후 최신의 구독 필터가 자동 업데이트되지만 무료 버전은 사용자가 구독 필터를 복사해서 직접 업데이트해야 함.
나. 홈페이지 : http://simple-adblock.com
다. 시스템 요구사항
-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 IE6, IE7, IE8, IE9
- 윈도우 버전 : 2000, XP, 비스타 또는 윈도우 7 (64bit 지원)
- 파일 사이즈 : 0.7 MB
라. 연락처 : 덴마크 (Dr Abildgaards Alle 3 st th1955 Frederiksberg Copenhagen Denmark)

마. 화면갈무리 (프로그램 이름처럼 메뉴 구성도 간단합니다.)



심플 애드블록은 주요 메뉴가 익스플로러의 상태표시줄에 있고, 사용자가 특별히 설정하는 부분은 필터링으로 인해 웹 페이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광고 차단 기능을 꺼두는 메뉴와 특정 사이트나 도메인에 대해 '허용 필터'를 적용하는 두가지밖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외 자주 묻는 질문, 피드백, 친구 초대, 설정은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바. 설치 후 설정
설치 후 국가(Country)를 'Korea'로 설정해주어야 한국 사이트에 최적화된 필터(코르셋)가 다운로드됩니다.


사. 주요 특징

1. 파이어폭스의 가장 인기있는 확장 프로그램인 Adblock Plus의 필터를 그대로 적용 가능

광고 차단과 관련하여 가장 인기있는 프로그램은 파이어폭스의 Adblock Plus입니다. 그러한 Adblock Plus의 필터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은 필터를 쉽게 추가하고, 필터 유지자의 필터 목록을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광고를 쉽게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기본적으로 영어권 사이트를 적용범위로 하는 이지리스트(EasyList)와 한국 구독 필터인 코르셋(Corset)을 지원합니다.

2.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이지 프라이버시(Easy Privacy) 옵션 제공

개인 정보 보호 필터는 많은 사이트는 인터넷 상에서 당신을 행위와 이동 경로 등을 추적하기 위한 쿠키와 트래킹 스크립트의 조합을 사용합니다. 트래킹 스크립트는 쿠키에 저장된 ID와 함께 트래킹 부분으로 당신이 방문하고 있는 사이트를 다시 보고할 것입니다. 이것은 개인의 위치 추적처럼 인터넷 행위나 이동 행적의 프로파일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어떤 경우에는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사이트에서 당신에 대한 정보와 링크될 수 있습니다. [온라인 트래킹(Online Tracking)]

이러한 개인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이지리스트 커뮤니티는 주요한 트래킹 스크립트를 차단하는 이지 프라이버시(Easy Privacy)라는 이름의 개인 정보 보호 필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한국 사이트에 최적화된 추적 방지용 구독 필터를 이용하려면 '코르셋 프라이버시'의 필터를 사용자 필터에 붙여넣으십시오.

3. 사용자 필터
의 편집 기능
심플 애드블록은 한국 사용자에게 기본적으로 이지리스트와 코르셋이라는 2개의 구독 필터를 지원합니다. 그렇지만 필터를 추가하고, 웹 페이지의 차단 오류에 대처할 수 있도록 임시 방편 차원에서 편집 가능한 사용자 필터(easylist_personal.txt)도 지원합니다. 이 필터 파일을 통해 임의의 필터를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easylist_personal.txt

[Simple Adblock - personal filters]
!
! In this file you can enter your own filters.
! Any updates to this file
! will take effect the next time a new tab or window is opened in
! Internet Explorer.
!
! To define filters you should use the adblockplus format, described on:
! http://adblockplus.org/en/filters
!
! File encoding: ANSI
!
!-------------------------Ad blocking rules--------------------------!


이 파일에 자신의 필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에 필터를 입력하면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새 탭이나 새 창을 열 때 적용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Adblock Plus 필터 형식을 정의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참고하십시오. 파일 인코딩 : 안시(ANSI)

  • [Simple Adblock - personal filters]는 일종의 주석 부분이지만 삭제해서는 안 됩니다.
  • 느낌표(!)로 시작하는 줄(Line)은 주석이므로 필터링과는 무관하므로 삭제해도 됩니다. 그렇지만 보통 텍스트 "Ad blocking rules"가 있는 줄의 아래부터 필터를 추가합니다.
  • 파일 인코딩이 안시이므로 한글을 입력한 후 저장을 하면 한글이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 심플 애드블록의 필터는 파이어폭스의 Adblock Plus의 필터를 표준으로 하여 주소에 적용하므로 http://corset.tistory.com/139를 참고하셔서 파이어폭스의 Adblock Plus를 이용하면 필터를 쉽게 작성해 이 필터 파일에 붙여넣으면 됩니다.


아. 필터 파일 위치
심플 애드블록은 하나의 폴더를 생성하고, 그곳에는 모든 설정과 유지되고 있는 필터 파일이 있습니다. 그것은 숨겨져 있는 Application Data 폴더(폴더가 숨김 상태라서 보이지 않음)안에 생성됩니다.

  • XP :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이름\Application Data\Simple Adblock
  • Vista : C:\Users\사용자 이름\AppData\LocalLow\Simple Adblock
  • Windows 7 : C:\Users\사용자 이름\AppData\LocalLow\Simple Adblock




※ [유료 버전 사용자] 유료화 이후 구독 필터의 업데이트 시스템을 변경한 후 필터 파일명이 다소 변경되었습니다. 안시 파일에서 다국어를 지원하는 UTF-8로 코딩되었습니다. 즉, 구독 필터 내 한국어를 볼 수 있어서 필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이지리스트 : filter1.txt (기존 파일명 : easylist.txt)
  • 코르셋 : filter9.txt (기존 파일명 : easylist_ko.txt)
  • 사용자 필터 : filter_personal.txt (기존 파일명 : easylist_personal.txt)

필터 파일 열기
필터 폴더를 열려면 윈도우 탐색기/폴더 창의 주소 표시줄에 다음 경로를 입력합니다.

%appdata%\Simple Adblock



그렇지 않으면 필터가 있는 폴더를 바로 열 수 있는 바로가기를 다운로드하십시오.

필터 폴더의 바로가기 : 다운로드



자. 구독 필터 기능


1. 최신 코르셋(한국 구독 필터)로 업데이트하기
최신 무료 버전(0.8.8 버전)을 설치하면 구독 필터가 최신 목록으로 자동 갱신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업데이트해주어야 합니다. 코르셋(한국 구독 필터)의 필터 목록을 그대로 복사해서 easylist_ko.txt의 내용을 대체하십시오.

2. 미차단 광고 및 차단 오류 신고

심플 애드블록의 광고 차단 필터는 심플 애드블록에서 작성된 것이 아닙니다. 즉, 심플 애드블록과 그것의 필터는 독립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심플 애드블록 설치 후 국가 설정에서 Korea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필터 파일(easylist_ko.txt)의 이름은 코르셋('한국 구독 필터'라는 의미)이며, 현재 이 블로그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광고 차단 요청을 받아 필터링 작업 후 필터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심플 애드블록은 단지 필터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코르셋 필터를 자신들의 서버로 가져와 개별 사용자의 필터를 중간에서 5일 주기로 업데이트해주는 역할만 합니다. 참고로 코르셋 업데이트와 관계없이 심플 애드블록은 새로운 필터의 다운로드를 위해 하루에 한 번씩 익스플로러가 실행되었을 때 업데이트를 확인합니다.

차. 참고자료

※ 참고1 : [문제해결] 상태 표시줄에 심플 애드블록의 메뉴 아이콘이 사라짐

  • 원인1 : 익스플로러의 확장 프로그램 설정이 올바르지 않음.
  • 해결책1: 기존 버전을 제거한 후 0.8.8 버전을 설치함.
  • 해결책2 : 도구 > 추가 기능 관리 > 도구 모음 및 확장 프로그램 > Simple Adblock 항목 > SimpleAdblock Class의 상태를 '사용함'으로 변경함.


※ 참고2 : 필터 유지자에게 해당되는 사항
코르셋의 구독 필터 위치(URL)가 변경되면 심플 애드블록의 개발자에게 직접 보고해야 합니다. 변경된 구독 필터 위치를 심플 애드블록에 알려줘야 정상적으로 필터 목록을 반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참고3 : 심플 애드블록 관련 블로그


※ 참고4 : 심플 애드블록에서 직접 제작한 동영상 - 바로가기

 


 

,

#include <boost/filesystem.hpp>

 

 

// full_path가  D:\svn\MasterChronicleDev\test.exe 일때

boost::filesystem::path path( full_path ); 

 

 

// 확장자 없는 파일네임만 리턴  ( "test.exe" )

std::string only_filename = path.stem();         

 

 // 확장자 포함 파일 네임        ( "test" )

std::string filename = path.filename();           

 

// 파일네임 없는 path만 리턴    ( "D:\svn\MasterChronicleDev" )

std::string path = path.parent_path().string(); 

 

// 확장자 리턴 ( ".exe" )

std::string ext = path.extention();

 

// full path 리턴 ( "D:\svn\MasterChronicleDev\test.exe" )

std::string full_path = path.string();   


,


고스트로 복원하다보면 백업 하드에 대한 드라이브 정보 때문에 부팅할 때 C 드라이브가 Z 처럼 다른 드라이브로 잡혀서 부팅이 안될 때가 있다. 이럴때는...

http://support.microsoft.com/kb/223188/ko


시스템/부팅 드라이브 문자 변경

경고 레지스트리 편집기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레지스트리를 잘못 수정하면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영 체제를 다시 설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Microsoft는 문제에 대해 해결을 보증하지 않습니다. 레지스트리의 수정에 따른 모든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1. 컴퓨터와 시스템 상태의 전체 시스템 백업을 만듭니다.
  2. 관리자로 로그온합니다.
  3. Regedt32.exe를 시작합니다.
  4. 아래의 레지스트리 키로 이동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MountedDevices
  5. MountedDevices를 누릅니다.
  6. 보안 메뉴에서 사용 권한을 누릅니다.
  7. 관리자에 모든 권한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이 단계를 완료하면 이 설정을 원래대로 변경합니다.
  8. Regedt32.exe를 종료한 다음 Regedit.exe를 시작합니다.
  9. 다음 레지스트리 키를 찾습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MountedDevices
  10. 변경할 새 드라이브 문자를 찾습니다. "\DosDevices\C:"를 찾습니다.
  11. \DosDevices\C: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른 다음 이름 바꾸기를 누릅니다.

    참고 이 레지스트리 키의 이름을 바꾸려면 Regedt32 대신 Regedit를 사용해야 합니다.
  12. 이름을 사용하지 않는 드라이브 문자 "\DosDevices\Z:"로 바꿉니다.

    이름을 바꾸면 드라이브 문자 C가 해제됩니다.
  13. 변경할 드라이브 문자를 찾습니다. "\DosDevices\D:"를 찾습니다.
  14. \DosDevices\D: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누른 다음 이름 바꾸기를 누릅니다.
  15. 이름을 적절한 새 드라이브 문자 "\DosDevices\C:"로 바꿉니다.
  16. \DosDevices\Z: 값을 누르고, 이름 바꾸기를 누른 다음 이름을 "\DosDevices\D:"로 다시 지정합니다.
  17. Regedit를 종료한 다음 Regedt32를 시작합니다.
  18. 사용 권한을 관리자의 이전 설정(읽기 전용)으로 다시 변경합니다.
  19. 컴퓨터를 다시 시작합니다.
,

멀티 부팅을 사용하다 윈도우XP를 제거하거나 할경우 MBR이 손상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는 윈도우 7 설치 시디를 넣으시고 복구 모드로 들어가셔서 명령프로프트 창을 선택하시면 도스로 들어갑니다.

도스창에서 아래 텍스트를 순서대로 입력을 하시면 됩니다.

bootrec /fixmbr

bootrec /fixboot

exit

도스창이 닫히고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
,

http://linuxexpresso.wordpress.com/2010/03/31/repair-a-broken-ext4-superblock-in-ubuntu/


HOWTO: Repair a broken Ext4 Superblock in Ubuntu
31Mar10

This has happened to me a few times, and it’s not a nice problem to find yourself in. You computer won’t boot, all your filesystem checks tell you you’ve a bad superblock, but you cant seem to find how to fix it. Well, here goes :)

This guide is for ext4 , though I’ll explain how other filesystems can be cured along the way. The easiest way to carry all this out, seeing as your computer probably won’t boot at this stage, is to download and burn a copy of Parted Magic. Boot from that, and you’ll access to a number of useful tools.

First, figure out what partition we’re dealing with.

1 sudo fdisk -l

The above will list all the partitions on all the drives in your computer. To recover a lost partition, your going to need Testdisk. Testdisk is included in Parted Magic, and there’s a great guide on their site. For this though, we just need the partition number, such as /dev/sda3 or /dev/hdb1.

Now, make sure your superblock is the problem, by starting a filesystem check, replacing xxx with your partition name. Here, you can change ext4 to ext3, or ext2 to suit the filesystem.

1 sudo fsck.ext4 -v /dev/xxx

If your superblock is corrupt, the output will look like this

01 fsck /dev/sda5
02 fsck 1.41.4 (27-Jan-2009)
03 e2fsck 1.41.4 (27-Jan-2009)
04 fsck.ext4: Group descriptors look bad... trying backup blocks...
05 fsck.ext4: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sda5
06
07 The superblock could not be read or does not describe a correct ext4
08 filesystem. If the device is valid and it really contains an ext4
09 filesystem (and not swap or ufs or something else), then the superblock
10 is corrupt, and you might try running e2fsck with an alternate superblock:
11 e2fsck -b 8193 &lt;device&gt;

Now lets find where your superblock backups are kept.

1 sudo mke2fs -n /dev/xxx

Down at the bottom of this output, should be a list of the backups

1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2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Your almost there. Finally, restore the superblock from the backup, again replacing the x’s with your partition name, and block_number with the first backup superblock.

1 sudo e2fsck -b block_number /dev/xxx

Now reboot, and your superblock should be fixed. If it’s not, repeat the steps, but restore a different backup superblock :)

,


요즘 NAS 를 많이 사용하는데 Netdrive 로 연결하면 바로 스트리밍해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Netdrive 를 ftp(port:21) 로 연결하면 속도가 느린 경우가 있더군요.

이럴 경우에는 Webdav 로 연결해 주면 속도가 빠릅니다.


1) NAS 에서 webdav 를 켜고 port 를 기억 (synology NAS 는 5005 port)
2) netdrive 옵션에서 ftp 를 webdav 로 바꿈
3) 한글 깨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netdrive 의 advance 옵션에서 encording 을 UTF-8 로 변경


ftp 를 통한 netdrive 사용은 속도가 1.5M 를 못넘었는데 webdav 로 하니 5M 정도 나오는군요.
,


http://tor.whria.net

입니다. ^^

아래 검색엔진부분에 키워드를 넣고 아래 검색 site 를 클릭해도 됩니다.






,


1. 시스템 리소스를 많이 먹는 프로그램 삭제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이스트 소프트의 알약, 알집, 알씨. 이것보다 낫지만 V3 도 microsoft 의 essentials 에 비해면 리소스를 많이 먹는다. 

2. ProcessExplorer 로 CPU 나 Memory 를 많이 점유하고 있는 프로그램 확인 & 삭제
 ProcessExplorer 는 아래에 첨부.

3. 제어판 -> 관리도구 -> 이벤트 뷰어 를 확인해서 에러가 난게 있나 확인. 에러가 나면 이를 해결하느라 지체되는 경우가 많다.

4. SSD 가 아닌 경우 디스크 조각 모음

5. 팬이 달린 부품에 먼지가 쌓이지 않았나 확인. 
,

이 글의 저작권은 CEnA에 있습니다. 퍼가실 때는 출처를 밝혀주세요.

Written by Inshane

불펌은 상관하지 않으나 내용 출처는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CEnA

  

홍길1234동abc입!!_#니다

라는 문구가 있다고 했을때 해당 문구에서

 

홍길동입니다

1234

abc

!!_#

 

를 각각 추출해내는 함수이다.

euckr을 기준으로 작성된 함수이며 euckr에서는 한글 패턴의 추출이 어려운 관계로

UTF-8로 전환하여 변환하는 형태이다.

핵심은 1 한글,2 영문 ,4 숫자 ,8 특수기호로 명시하고 처리하는 식이다.

  

========= 내용 ==============

 

$msg = "홍길1234동abc입!!_#니다";

 

function getMsgArr($msg) {
   $convMsg = mb_convert_encoding($msg, "UTF-8", "EUC-KR");
   $resultArr = array();

 

   // 1: 한글
   $pattern = '/[\x{1100}-\x{11FF}\x{3130}-\x{318F}\x{AC00}-\x{D7AF}]+/u';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1]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2: 영문
   $pattern = '/[a-zA-Z]/';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2]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4: 숫자
   $pattern = '/[0-9]/';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4]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8: 특수기호
   $pattern = '/[^\x{1100}-\x{11FF}\x{3130}-\x{318F}\x{AC00}-\x{D7AF}0-9a-zA-Z]+/u';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8]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3: 한글 + 영문
   $pattern = '/[\x{1100}-\x{11FF}\x{3130}-\x{318F}\x{AC00}-\x{D7AF}a-zA-Z]+/u';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3]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5: 한글 + 숫자
   $pattern = '/[\x{1100}-\x{11FF}\x{3130}-\x{318F}\x{AC00}-\x{D7AF}0-9]+/u';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5]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9: 한글 + 특수기호
   $pattern = '/[^0-9a-zA-Z]/';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9]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6: 영문 + 숫자
   $pattern = '/[0-9a-zA-Z]/';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6]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10: 영문 + 특수기호
   $pattern = '/[^\x{1100}-\x{11FF}\x{3130}-\x{318F}\x{AC00}-\x{D7AF}0-9]+/u';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10]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12: 숫자 + 특수기호
   $pattern = '/[^\x{1100}-\x{11FF}\x{3130}-\x{318F}\x{AC00}-\x{D7AF}a-zA-Z]+/u';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12]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7: 한글 + 영문 + 숫자
   $pattern = '/[\x{1100}-\x{11FF}\x{3130}-\x{318F}\x{AC00}-\x{D7AF}0-9a-zA-Z]+/u';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7]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11: 한글 + 영어 + 특수기호
   $pattern = '/[^0-9]/';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11]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14: 영문 + 숫자 + 특수기호
   $pattern = '/[^\x{1100}-\x{11FF}\x{3130}-\x{318F}\x{AC00}-\x{D7AF}]+/u';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14]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13: 한글 + 숫자 + 특수기호
   $pattern = '/[^a-zA-Z]/';
   preg_match_all($pattern,$convMsg,$match);
   $resultArr[13] = mb_convert_encoding(implode('',$match[0]),"EUC-KR", "UTF-8");

 

   // 15: 한글 + 영문 + 숫자 + 특수기호
   $resultArr[15] = $convMsg;

   return $resultArr;
  }

 

 

이 글의 저작권은 CEnA에 있습니다. 퍼가실 때는 출처를 밝혀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