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절대 가치로 보았을 때 계속 떨어진다. 디플레이션

'경제 이야기~ >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몇가지 사회 현상들  (0) 2009.09.12
버블이 붕괴되는 이유  (0) 2009.09.08
펀드로 부동산 투자를...  (0) 2009.09.07
마크 파버 인터뷰 - 2주내 의미있는 조정  (0) 2009.09.05
투기와 대폭락  (0) 2009.09.04
,


요즘 가장 눈에 띄는 종목은 농산물입니다. 하반기 인플레이션 우려.. 하면서 유가, 농산물 가격 폭등을 우려했었죠.
하지만 밀(whaet)의 가격 추이를 보면 ...


완전히 바닥을 치고 있습니다.


oil 의 그래프인데 11일 경부터 횡보하더니 몇일 전부터 꺾이기 시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곡물, 유가 모두 비슷한 길을 가는 것으로 볼 때 oil 도 곧 추락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



이는 dolar index 인데 추세선상 하락으로 가야하는데 몇일 전부터 80 에서 지지를 받고 꾸역꾸역 버티고 있습니다.



유로/$ 그래프인데 어제 추세선을 이탈시키는 움직임이 있었습니다. 만약 몇일 더 봐서 확실하게 이탈해 버리면 달라는 날아갈 수도 있겠네요.

결론은 아직 우리는 디플레이션 한가운데 있다는 것이고 원자재 투자는 좀 더 기다려야 할 것 같습니다.
디레버리징이 끝나는 내년초에나 되어야... 정부가 인플레이션 우려로 금리를 올리고 나서 들어가도 충분할 것 같네요.
디플레이션이 진행중이므로 현금, 달러, gold 비중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gold 는 달러 가치가 급상승하면 하락할 수 있지만 어느정도 선(대략 800 근방)에서 버티리라 추측됩니다.

피부미인
http://sshan.net

'경제 이야기~ >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앞으로 벌어질 일들...  (0) 2009.07.13
중요한 변곡점  (0) 2009.07.11
Gold 비교 가격  (0) 2009.06.26
디플레이션... 시플레이션...  (0) 2009.06.22
인플레인가 디플레인가  (0) 2009.06.21
,


상품을 생산할 생각 않고 돈을 뻥튀기하는 돈놀이만 한다.

 

->

생산성 저하(임대료가 장난이 아님), 생산인구 감소(불로소득자 증가) -> 돈 가졌다는 사람은 많은데 생산물이 부족해진다.

 

->

돈이 가장 집중된 부동산부터 하락하기 시작한다.

 

->

1) 부동산에 투자한 또는 빌려준 은행이 빚더미가 된다. 

2) 주식이 마구 폭락한다.

 

->

1) 정부가 은행 빚을 세금으로 갚아 주기로 한다. 정부가 빚을 떠안는다.

2) 빚을 줄이기 위해 화폐 가치를 하락시킨다.

3) 돈 달라는 곳이 많아지므로 금리를 낮춰서 돈을 푼다.

 

->

풀린 돈들이 갈곳이 없어서 안전한 채권이나 원자재, 금으로 간다. -> 생산성에 도움이 안된다.

돈을 너무 많이 풀어서 너무 많은 돈을 풀어낸 정부 신뢰가 떨어진다. -> 국채 금리가 올라간다. 정부 빚이 눈덩이처럼 는다.

 

->

물가가 오른다. -->금리를 올리고 풀린 돈을 회수해야 하나?

정부 빚이 는다. --> 돈을 윤전기로 찍어내서 갚을까? 세금을 더 걷을까?

 

이런 문제로 더 이상 눈먼 유동성을 못 늘리는 순간이 오면 다시 주식, 부동산은  하락으로 가겠다.

 

 

결국은 이런 반복하다 보면

 

자산가치 하락 -> 생산성 증가(불로소득 감소, 임대료 감소)  된다.

 

 

모두가 HTS 를 쳐다보지도 않고 죽도록 일해서 돈을 벌어야 하는 세상이 오면서 위기가 끝난다. ㅎㅎ


'경제 이야기~ >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플레이션  (0) 2009.07.03
Gold 비교 가격  (0) 2009.06.26
인플레인가 디플레인가  (0) 2009.06.21
금값 하락 요인들  (0) 2009.04.28
최근 금(Gold) 가격의 조정에 대해서  (0) 2009.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