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년 july 10 에 나온 article 이네요. Sornette 등이 낸 거구요.
July 17-27 이 crash date 라고 말했었네요.
관성때문인지.. 예측 보다 좀더 늦게 폭락이 왔네요.
별로 길지 않으니 참고 하시면 좋을듯.
http://arxiv.org/ftp/arxiv/papers/0907/0907.1827.pdf
2009 년 july 10 에 나온 article 이네요. Sornette 등이 낸 거구요.
July 17-27 이 crash date 라고 말했었네요.
관성때문인지.. 예측 보다 좀더 늦게 폭락이 왔네요.
별로 길지 않으니 참고 하시면 좋을듯.
http://arxiv.org/ftp/arxiv/papers/0907/0907.1827.pdf
채권투자 (0) | 2009.08.31 |
---|---|
The Chinese Equity Bubble: Ready to Burst (0) | 2009.08.31 |
상품 시장은 롤러코스터 중 (0) | 2009.08.22 |
터닝 포인트 (0) | 2009.07.23 |
USD index, Gold (0) | 2009.07.15 |
국제유가, 배럴당 73.89$로 올 최고가 기록 ... 하지만 천연가스는 최저가 기록
http://news.nate.com/view/20090822n01903?mid=n0302
설탕이어 홍차, 커피, 코코아 가격도 들썩
http://news.nate.com/view/20090820n16881
유가는 오르는데 천연가스는 전저점을 거의 뚫을 정도로 최저가로 내려앉고 있다.
설탕은 몇달사이에 2배로 올라버렸고 홍차, 커피, 코코아 가격도 들썩인다던데... 밀값은 완전 똥값(500 붕괴)이 되었고 옥수수 가격도 바닥으로 기고 있다. 최근 설탕 값이 고공행진을 하는 것을 보니 작년 유가 150$ 육박한 것이 생각이 나더라. 1주일 전부터 설탕 값은 다른 상품 가격과 주식에 관계없이 꺾이고 있다.
한마디로 국제 상품시장이 투기판이 된 것. 넘쳐나는 유동성이 흐르는 분야만(설탕, 원유) 오르게 만들고 있다. 쭉 올랐다... 쭉 내렸다....
전세계는 먹는 것, 입는 것, 사는 것 가지고 롤러 코스터 중ㅎㅎㅎ
The Chinese Equity Bubble: Ready to Burst (0) | 2009.08.31 |
---|---|
몇가지 사실들 (0) | 2009.08.29 |
터닝 포인트 (0) | 2009.07.23 |
USD index, Gold (0) | 2009.07.15 |
앞으로 벌어질 일들... (0) | 2009.07.13 |
몇가지 사실들 (0) | 2009.08.29 |
---|---|
상품 시장은 롤러코스터 중 (0) | 2009.08.22 |
USD index, Gold (0) | 2009.07.15 |
앞으로 벌어질 일들... (0) | 2009.07.13 |
중요한 변곡점 (0) | 2009.07.11 |
상품 시장은 롤러코스터 중 (0) | 2009.08.22 |
---|---|
터닝 포인트 (0) | 2009.07.23 |
앞으로 벌어질 일들... (0) | 2009.07.13 |
중요한 변곡점 (0) | 2009.07.11 |
디플레이션 (0) | 2009.07.03 |
터닝 포인트 (0) | 2009.07.23 |
---|---|
USD index, Gold (0) | 2009.07.15 |
중요한 변곡점 (0) | 2009.07.11 |
디플레이션 (0) | 2009.07.03 |
Gold 비교 가격 (0) | 2009.06.26 |
dolar index 가 80~81 사이에 걸쳐있는데 이놈이 어느쪽으로 튈지 잘 봐야겠네요.
금요일은 세력들이 눈치를 보았는지 미장은 보합이던데....
월요일/화요일 다우 지수도 880 에서 아래로 강하게 흘러내린다면 --> hellgate 가 활짝...
다우가 880 에서 반등한다면 dolar index 가 80 에서 무너지면서 달러를 저가에 매집할 기회가 올 것 같네요.
아래는 제가 운영하는 홈페이지 입니다. ^^
USD index, Gold (0) | 2009.07.15 |
---|---|
앞으로 벌어질 일들... (0) | 2009.07.13 |
디플레이션 (0) | 2009.07.03 |
Gold 비교 가격 (0) | 2009.06.26 |
디플레이션... 시플레이션... (0) | 2009.06.22 |
앞으로 벌어질 일들... (0) | 2009.07.13 |
---|---|
중요한 변곡점 (0) | 2009.07.11 |
Gold 비교 가격 (0) | 2009.06.26 |
디플레이션... 시플레이션... (0) | 2009.06.22 |
인플레인가 디플레인가 (0) | 2009.06.21 |
중요한 변곡점 (0) | 2009.07.11 |
---|---|
디플레이션 (0) | 2009.07.03 |
디플레이션... 시플레이션... (0) | 2009.06.22 |
인플레인가 디플레인가 (0) | 2009.06.21 |
금값 하락 요인들 (0) | 2009.04.28 |
상품을 생산할 생각 않고 돈을 뻥튀기하는 돈놀이만 한다.
->
생산성 저하(임대료가 장난이 아님), 생산인구 감소(불로소득자 증가) -> 돈 가졌다는 사람은 많은데 생산물이 부족해진다.
->
돈이 가장 집중된 부동산부터 하락하기 시작한다.
->
1) 부동산에 투자한 또는 빌려준 은행이 빚더미가 된다.
2) 주식이 마구 폭락한다.
->
1) 정부가 은행 빚을 세금으로 갚아 주기로 한다. 정부가 빚을 떠안는다.
2) 빚을 줄이기 위해 화폐 가치를 하락시킨다.
3) 돈 달라는 곳이 많아지므로 금리를 낮춰서 돈을 푼다.
->
풀린 돈들이 갈곳이 없어서 안전한 채권이나 원자재, 금으로 간다. -> 생산성에 도움이 안된다.
돈을 너무 많이 풀어서 너무 많은 돈을 풀어낸 정부 신뢰가 떨어진다. -> 국채 금리가 올라간다. 정부 빚이 눈덩이처럼 는다.
->
물가가 오른다. -->금리를 올리고 풀린 돈을 회수해야 하나?
정부 빚이 는다. --> 돈을 윤전기로 찍어내서 갚을까? 세금을 더 걷을까?
이런 문제로 더 이상 눈먼 유동성을 못 늘리는 순간이 오면 다시 주식, 부동산은 하락으로 가겠다.
결국은 이런 반복하다 보면
자산가치 하락 -> 생산성 증가(불로소득 감소, 임대료 감소) 된다.
모두가 HTS 를 쳐다보지도 않고 죽도록 일해서 돈을 벌어야 하는 세상이 오면서 위기가 끝난다. ㅎㅎ
디플레이션 (0) | 2009.07.03 |
---|---|
Gold 비교 가격 (0) | 2009.06.26 |
인플레인가 디플레인가 (0) | 2009.06.21 |
금값 하락 요인들 (0) | 2009.04.28 |
최근 금(Gold) 가격의 조정에 대해서 (0) | 2009.04.23 |